크로스 히치 또는 Nodome(の止め)은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로프를 연결하여 이리저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많은 매듭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Munter Hitch”라고 불리는 것을 듣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munter”라는 단어는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모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리는 그 이름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튜토리얼은 다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빌딩 블록 - 정션. 이 모든 것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아직 보지 못했다면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이 튜토리얼에서는 다음을 사용했습니다. 내추럴 및 블랙 6mm 로프를 사용했습니다. 이 로프는 저와 제휴한 다음 업체에서 제공을 받았습니다. Twisted Monk.

놀라운 품질의 마 로프를 구경하세요!

3 댓글
  1. dot proto 4년 전

    Is there any reason not to do th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way you could simply slip a loop of the working rope under the rope being crossed an then put the working rope through that loop. the hitch would be exactly the same just go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is how Topologist often ties half-hitches (though i’m not sure whether they are strictly speaking half hitches) and can almost be performed at full speed one handed.

    • Lazarus 4년 전

      That is a great technique too. Structurally, you end up with the almost the same knot, but just facing the other way. For that reason, many riggers refer to that version as the “Reverse Munter” / “Reverse Crossing Hitch”. The only thing to watch about it is that it take a little more work/attention to get it in exactly the right place. Because you have to have a larger loop to run the tail through, if you just pull the tail to tighten it, it can be easy to move the crossing line a little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This is easy to counter act by simply tightening in two stages–first tighten the loop, then the tail–but you do need to remember to do it that way if you need your line to stay where it was.

  2. elpavlo 4년 전

    A really useful hitch for conditioning hemp or jute rope! Stick it on a carabiner and pull through.

댓글 남기기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